![[python] 백준 2490번 윷놀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sUYQ8%2Fbtrc3p0NnMh%2FAAAAAAAAAAAAAAAAAAAAACm8oyQk3k3jQWOrlozuFxzxiw0DcGFLdWN6b4JO78qM%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3lXeaK27npPJ%252BeEKmkel3EgpiA%253D)
[python] 백준 2490번 윷놀이알고리즘/백준2021. 8. 23. 22:48
Table of Contents
문제 요약 및 풀이
표 하나로 설명을 하겠다.
도 | 개 | 걸 | 윷 | 모 |
배(0) | 배(0) | 배(0) | 배(0) | 등(1) |
등(1) | 배(0) | 배(0) | 배(0) | 등(1) |
등(1) | 등(1) | 배(0) | 배(0) | 등(1) |
등(1) | 등(1) | 등(1) | 배(0) | 등(1) |
0111 | 0011 | 0001 | 0000 | 1111 |
0의 개수 : 1 | 0의 개수 : 2 | 0의 개수 : 3 | 0의 개수 : 4 | 1의 개수 : 4 |
도, 개, 걸, 윷 같은 경우 0의 개수를 카운팅 해주면 되고
모 같은 경우는 1의 개수를 카운팅 해주면 된다.
딕셔너리를 안 써도 되지만 써서 해봤다.
입력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input().split()으로 입력을 받았다.
나머지는 표의 개수란과 같이 if문을 돌려서 해주었기 때문에 표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완성된 코드! 👍😊
s_dict = {'1': 'A', '2': 'B', '3': 'C', '0': 'D', '4': 'E'}
for i in range(3):
s = input().split()
if s.count('0') == 4:
print(s_dict['0'])
elif s.count('0') == 1:
print(s_dict['1'])
elif s.count('0') == 2:
print(s_dict['2'])
elif s.count('0') == 3:
print(s_dict['3'])
elif s.count('1') == 4:
print(s_dict['4'])
반응형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1547번 공 (0) | 2021.08.25 |
---|---|
[python] 백준 1085번 직사각형에서 탈출 (2) | 2021.08.24 |
[python] 백준 1284번 집 주소 (0) | 2021.08.21 |
[python] 백준 2576번 홀수 (0) | 2021.08.15 |
[python] 백준 3009번 네 번째 점 (0) | 2021.08.15 |
@펄찌 :: Pearl's Story
많은 생각들을 가지고 있고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것이 즐거운 펄의 스페이스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