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pc를 샀기 때문에 개발 및 테스트 용도로 노트북을 서버로 구축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미루다가 이번주 화요일부터 ubuntu desktop을 usb에 넣고 부팅디스크로 만들었다.
기존 노트북의 공장초기화가 잘 되지 않아 부팅 옵션을 usb로 두고 해당 window os 위에 ubuntu desktop (ver 25.04)을 올렸다.
기존에 사용하던 노트북의 사양은 아래와 같다.
CPU | i7-10750H (6c 12T) |
RAM | 32GB |
SSD | 512GB, 512GB |
ubuntu desktop 을 설치할 때 파티션을 직접 설정하지 않아 여러 필요 없는 파티션들이 자동으로 설정이 되었다.
ubuntu desktop은 GUI 버전이기 때문에 한글명으로 되어있는 "내 문서", "다운로드" 등 과 같은 디렉토리도 생성이 되었다.
오늘인 금요일에 식사를 마치고나서 보기 싫은 ubuntu desktop을 ubuntu server (ver 24.04.3 LTS)로 올리기로 하여 부팅디스크를 다시 만들어 진행했다.
파티션을 직접 설정하면서 ssd가 두 개 있다보니 레이드 구성도 해보고 싶어졌다. 안정성을 위해 RAID 1로 구성을 하였다.
생각보다 어떤 파티션으로 나눌지, os영역과 data영역을 나눌지, 파일시스템 ext4, xfs의 차이는 무엇인지 등의 고민을 하며 파티션을 설정했다.
설정한 내역은 아래와 같다. 참조한 사이트에서 레이드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 파일시스템은 어떻게 설정하는지도 같이 나와있다.
partition | ssd1 | ssd2 | 구성 | 파일시스템 |
/boot | 1G | 1G | Raid(1) | ext4 |
/swap | 4G | 4G | LVM | swap |
/ | 20G | 20G | Raid(1) | ext4 |
/home | 50G | 50G | Raid(1) | ext4 |
/data | 200G | 200G | Raid(1) | ext4 |
/module | 나머지 | 나머지 | Raid(1) | xfs |
고민하고 설정하는 데에만 1~2시간 걸린 것 같다.
노트북이다 보니 덮개를 닫으면 절전이 되어버려 ssh 사용 환경에서 끊어져버리는 것이 단점이었다.
해당 설정도 찾아 적용하였더니 지금은 편하게 덮개를 닫고 서버 설정 중이다.
뭘 개발할 지, 뭘 하고 싶은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cli에서 명령어를 치는 게 즐거워 한 번 만져봤다.
## 참조 링크
[Linux] Ubuntu Server 20.04 RAID 구성하기
Intro 준비물: Ubuntu Server 20.04 부팅 USB, 2개 이상의 디스크 Ubuntu Server 20.04 설치 진행 파티션 설정 이전까지는 기본적인 OS 설치 과정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2021.11.24
devjaewoo.tistory.com
[Linux] 우분투 서버 설치 RAID 1 (24.04 ver.)
Oracle VirtualBox에 우분투 서버 설치를 RAID 1 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설치 버전은 24.04 버전입니다.
uknew.co
우분투(Ubuntu) 노트북 덮개를 닫아도 정상 서비스되도록 설정하기
노트북으로 우분트 홈서버 구성 시 노트북 덮개를 닫아도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하기 개인 홈 서...
blog.naver.com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에 ubuntu server 올리기 - 2 (0) | 2025.09.13 |
---|
많은 생각들을 가지고 있고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것이 즐거운 펄의 스페이스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